Count of Myeongdong

  • Plaats #
  • in première gegaan: Sep 2004
  • Afleveringen: 24
  • Volgers: 0
  • Afgelopen
  • EBS
  • Onbekend
  • Drama

Seizoenen:

Log in om afleveringen als gekeken te markeren. Inloggen of aanmelden.

Seizoen 1
1x1
명동백작 이봉구가 명동에 돌아온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Sep 05, 2004
명동백작 이봉구가 명동에 돌아온다 그러나 명동은 폐허 그자체이다. 이봉구는 김수영의 집을 찾아가지만 김현경은 어린준을 놔두고 김수영을 찾아 부산으로 떠났다는 말만 전해 듣는다
1x2
박인환, 포로수용소에서 김수영을 만나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Sep 12, 2004
부산의 김현경 집에 찾아가는 박인환. 김현경은 이종구와 살고 있다. 박인환, 노봉실의 안내로 포로수용소의 김수영을 만난다. 거기에서 김수영은 문학가동맹 사무실에 갔다가 인민군으로 끌려갔던 얘기를 해준다.
1x3
김수영이 석방되어 집으로 돌아왔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Sep 18, 2004
김수영,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되어 김현경의 집을 찾아간다. 김현경과 이종구를 만나고 박인환으로부터 김수영이 석방되어 집으로 돌아왔다는 말을 들은 이봉구는 김수영의 집으로 찾아간다
1x4
명동에서 오상순을 만나지만 그냥 도망쳐버리는 김수영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Sep 19, 2004
- 명동에서 오상순을 만나지만 그냥 도망쳐버리는 김수영. - 이봉구에게 끌려 다시 명동에 나오는 김수영. - 그런 김수영에게 신분증을 쥐어주는 오상순.
1x5
박인수 사건, [자유부인] 파동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Sep 25, 2004
진정한 여성의 해방은 성적억압과 차별로부터 해방되는 거라고 주장하는 전혜린
1x6
박인수의 ‘처녀’논쟁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Sep 26, 2004
백관장, 이화룡에게 이기붕 쪽과 친하게 지내라고 제안한다.
1x7
마리서사에서 대화하며 친해지는 박인환과 김수영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02, 2004
김수영, 번역료를 타서 노봉식을 찾아간다. 그러나 유부녀였던 노봉식은 김수영의 접근을 경계한다
1x8
이중섭의 그림들에 대한 설명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03, 2004
이중섭, 아내와 아이들을 그리워한다. 한묵의 집에 머물고 있는데, 그의 괴팍한 행동으로 친구들은 그가 미쳤다고 생각한다.
1x9
9부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09, 2004
This episode has no summary.
1x10
10부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10, 2004
This episode has no summary.
1x11
박인환, 김수영의 집에 찾아간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16, 2004
- 삼우회와 명동 연합파 주먹계들이 종로의 황금카바레의 영업권을 놓고 한바탕 혈투가 벌어지고... - 이화룡, 자신의 누이에게 자신의 꿈이 예술가였고, 그래서 명동을 좋아한다고 속내를 털어놓는다 - 박인환, 김수영의 집에 찾아간다. 박인환, 회사 관두고 앞으론 열심히 글을 쓰겠다고, 같이 활동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바쁘다며 .. show full overview
1x12
이중섭의 전시회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17, 2004
- 술을 끊겠다는 약속은 잊고 이번에는 학생들과 보신탕에 술자리를 벌이는 등 김관식의 기행은 계속되고. - 미도파 화랑에서 열린 이중섭의 전시회. 전시회는 성공적인 듯 보였으나.. 그러나 여전히 두려움에 갇혀 나서지 못하는 이중섭 - 이중섭, 대구에 가서 구상을 만난다. 그곳에서도 이중섭의 기행은 계속된다. 밥을 먹여주던 .. show full overview
1x13
박인환의 출판기념회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23, 2004
박인환의 출판기념회. 박인환, 김수영을 기다리나 그는 나타나지 않는다. 박인환은 자신이 시집을 낸 것에 대해, 김수영에게 부끄럽다고 말하고 또한 아내에게 고마움을 표시한다. - 신협과 제작극회. 이해랑의 연극에 대한 열정. 김동원. 작품성과 대중성 사이에서 고민하는고 그러다 결국 [자유부인]을 올리고.. - 이중섭을 만나러 .. show full overview
1x14
김수영, 김현경과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24, 2004
김수영, 마포강가에 보이는 곳에서 김현경과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그곳에서 병아리를 키우며 마음의 안정을 찾는 김수영 방옥례와의 결혼에 차질이 생기자 괴로워하는 김관식. 이에 오상순이 아이디어를 낸다
1x15
죽음을 코앞에 둔 박인환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30, 2004
죽음을 코앞에 둔 박인환, 더욱더 미친 듯이 술을 마셔댄다 '이상의 밤' 행사를 진행하고 결국 집에 와서 가슴이 답답하다며 죽어가는 박인환 이봉구가 찾아와서 박인환에 입술에 술을 부어준다. 장례식에도 안 갔던 김수영이 묘지에 찾아와 원통해한다 56년 3대 대통령 선거 전후 이기붕으로부터 제안을 계속 받는 이화룡. 선거 분위기는 고조되어 가고, 그 사이 이중섭의 죽음도 가까워진다
1x16
천재시인 김관식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Okt 31, 2004
김관식은 한문과 문사철에 해박한 천재시인으로 박목월과 조연현도 그 앞에서는 맥을 못춘다. 서정주의 처제와 끈질긴 구애끝에 결혼에 성공하고 용산에서 국회의원에도 출마하는 그의 기이한 삶의 행적을 돌아본다.
1x17
자유란 적절하거나 타협의 산물이 아니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06, 2004
1956년 1월 30일 오전 7시 30분. 육군 특무대장 김창룡이 암살당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이승만의 총애를 받으며 한국판 매카시 선풍을 일으킨 김창룡은 다섯발의 총탄을 맞고 역사에서 사라진다. 이승만은 친히 김창룡의 시신을 어루만지며 그의 공산주의자 색출의 공을 치하한다. '김창룡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은 벌써 김일성의 .. show full overview
1x18
김수영, 한국시인협회 제 1회 수상자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07, 2004
한 손에 꽃다발을 든 김수명이 한껏 미소를 지으며 김수영을 찾는다. 김수영에게 경사가 생긴 것. 바로 한국시인협회 제 1회 수상자로 김수영이 선정된 것이다. 누구보다 기쁜 사람은 부인 김현경이다. 너무 기뻐 눈물까지 흘리며 반기지만 정작 김수영의 태도는 냉랭하기만 하다. 김수영은 보수적인 한국시인협회가 주는 상 같은 건 .. show full overview
1x19
김관식과 김수영, 서로의 시를 읊어대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13, 2004
김관식은 김수영의 시 '달나라의 장난'을 읊는다. 김수영은 김관식의 시 '귀양가는 길'을 읊는다. 서로의 시를 제법 감정까지 섞어 읊조린 둘은 기분에 <은성>으로 향한다. 후래삼배라... 김관식은 연이어 김수영에게 술을 권하고, 술에 거나히 취한 김수영은 테이블 위에 오른다. 노래 한 자락을 기대하던 좌중의 기대를 보기 .. show full overview
1x20
3.15 부정선거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14, 2004
3.15 부정선거에 대해 <명동백작> 각 인물들은 20회에서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김수영 - '누가 당선되든 다 똑같다'는 입장엔 변화가 없다. 통일이 되지 않는 이상 언제든 반공 이데올로기를 뒤집어 씌울 테니까... 그래서 김수영은 선거에 관심이 없다. 그런데 동회 직원이 김수영은 장면을 찍을 것 같으니 투표장에 나오지 .. show full overview
1x21
1960년 4월 19일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20, 2004
1960년 4월 19일, 김수영은 예전과 다름없이 신문사를 찾는다. 온 서울의 거리가 시위대로 뒤덮인 걸 아는 순간 김수영은 전율을 느낀다. 특별한 의도도 목적의식도 없었지만 목구멍을 뜨끔하게 적시는 민중의 힘에 감격해 김수영은 무작정 광화문으로 향한다. 시위대가 불어나고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총을 난사하는 순간 민중은 더 큰 .. show full overview
1x22
4.19 혁명은 세상을 바꿔 놓았다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21, 2004
4.19 혁명은 세상을 바꿔 놓았다. 그리고 시인 김수영의 삶을 바꿔 놓았다. 밝은 햇살이 내리 쬐는 마포 강가를 걸으며 김수영은 전쟁과 반공 이데올로기와 독재에 신음했던 자신의 묵은 때를 완전히 벗고 홀가분한 기분으로 명동을 찾는다. 상식의 허를 찌르는 김관식은 이번에도 사고를 친다. 용산구에서 민의원(지금의 국회의원) .. show full overview
1x23
1961년 5월 16일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27, 2004
4.19 이후 김수영은 활발한 사회참여를 시작한다. 수시로 명동에 나와 후배들에게 4.19의 정신을 잊어선 안된다며 연설을 하고, 무엇에 홀린 듯 자유를 노래한다. 그러나 무능한 장면 정부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미적지근한 개혁으로 오히려 사회혼란만 부추긴다. 이에 또다시 분노하는 김수영. 그런 가운데 1961년 5.16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고 김수영은 또다시 극심한 이데올로기 갈등을 겪게 되는데...
1x24 Seriefinale
1980년 봄
Episode overview
Uitzenddatum
Nov 28, 2004
1980년 봄. 명동 한복판에 이봉구가 서있다. 옛 거리와 낭만이 자취를 감추고 금융과 유행의 중심지가 돼버린 명동을 슬픈 눈으로 바라본다. 명동성당 계단에 앉아 이젠 고인이 된 지인들의 마지막 모습을 회상하는 이봉구. 전혜린은 '난 평범한 것이 죽는 것이다'라는 묘한 말을 남기고 명동의 어둠속으로 사라진 뒤 자살하고, .. show full overview

Als er afleveringen of banners missen (en ze staan op TheTVDB), dan kun je een automatische update van de serie aanvragen:

Update van serie aanvragen